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아이폰 12 가격과 출시일 사전예약

by 생활건강금융꿀팁 2020. 10. 14.

아이폰 12 가격과 출시일 사전예약

 

밀리미터파 5G 지원…테두리가 화면과 직각 이루는 디자인
충격 잘버티는 '세라믹쉴드' 장착…자석으로 액세서리 부착 '맥세이프' 도입
화면 크기만 줄인 아이폰12 미니도 선보여…한국선 10월 30일부터 구매 가능


 

아이폰12와 아이폰12 미니. 

애플이 13일(현지시간) 초고속 이동통신 서비스인 5세대 이동통신(5G)을 지원하는 신형 '아이폰12' 시리즈를 공개했다.

애플은 이날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신제품 발표 행사를 열고 처음으로 5G를 지원하는 아이폰인 아이폰12 시리즈를 선보였다.

아이폰12 시리즈는 전작인 아이폰11보다 1개 모델이 더 늘어나 소형 모델인 5.4형 아이폰12 미니, 기본형인 6.1형 아이폰12, 프리미엄 라인업인 6.1형 아이폰12 프로와 6.7형 아이폰12 프로맥스 등 4개 모델로 출시된다.

아이폰 12  모델별 비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오늘은 아이폰에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날"이라며 5G가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다운로드·업로드하고 고화질 동영상 스트리밍과 더 반응이 빠른 게이밍, 실시간 상호작용 등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폰은 5G 중에서도 더 빠른 고속 통신을 제공해 '진짜 5G'로 불리는 '밀리미터파' 서비스를 지원한다.

미국에서는 최대 이동통신사인 버라이즌과 협력해 처음으로 밀리미터파 서비스인 '버라이즌 5G 울트라 와이드밴드'를 제공하기로 했다.


버라이즌에 따르면 이 서비스는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4.0Gbps, 최대 업로드 속도가 200Mbps에 달한다.

한스 베스트버그 버라이즌 CEO는 그동안 대부분 소비자들이 5G 커버리지의 확대와 5G의 약속된 성능, 좋아하는 기기 등을 기다리며 관망세를 유지해왔지만 "아이폰과 함께 그런 기다림은 끝났다"고 말했다.

베스트버그 CEO는 "5G가 이제 막 현실이 됐다"며 뉴욕, 시카고, 로스앤젤레스(LA) 등 이미 울트라 와이드밴드가 도입된 도시 외에도 올해 말까지 필라델피아, 샌프란시스코 등을 추가해 미국 내 60개 도시에서 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이폰12는 외관에서도 종전 제품과 차별화돼 '아이패드 프로'처럼 알루미늄 테두리(프레임)가 화면과 직각을 이루는 디자인을 채택했다. 새로운 5G 안테나들을 수용하기 위한 설계라는 게 애플의 설명이다.

또 기본형 아이폰12의 경우 아이폰11보다 두께가 11% 얇고 부피는 15% 작으며 무게는 16% 가볍다.

아이폰12와 아이폰12미니

 



슈퍼레티나 XDR 디스플레이에는 아이폰11보다 2배 많은 픽셀이 들어가고, 하이다이내믹레인지(HDR) 콘텐츠의 경우 최대 밝기가 거의 2배로 높아졌다.

아이폰12에는 또 스마트폰 칩으로는 처음으로 5나노미터 공정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칩 'A14 바이오닉'이 탑재된다. 어떤 스마트폰 칩보다 최대 50% 빠른 중앙처리장치(CPU) 속도, 최대 50% 빠른 그래픽처리장치(GPU) 속도를 지원한다고 애플은 밝혔다.

또 전면 디스플레이에는 나노세라믹 크리스탈을 적용한 '세라믹 쉴드'를 장착해 다른 스마트폰보다 충격에 대한 저항 강도를 높였다고 애플은 밝혔다.


'스마트 데이터 모드'는 5G의 속도가 필요 없는 작업을 할 때는 자동으로 4G로 전환해 전력 소모를 줄였다가 필요하면 다시 5G로 바꿔준다.

아이폰12에는 또 밝은 F1.6 조리개 값의 초광각·광각 등 2개 카메라 렌즈가 장착돼 어두운 저(低)조도 환경에서도 27% 개선된 촬영 성능을 발휘한다.

무선충전에 쓰이는 충전코일 주변에 자석을 설치한 '맥세이프'도 새로 도입된다. 이 자석은 무선충전 때 충전코일과 충전기의 위치가 어긋나 제대로 충전이 되지 않는 것을 막는 것은 물론 자석을 이용해 스마트폰 케이스나 지갑 등을 아이폰 뒷면에 부착할 수 있게 해준다고 애플은 밝혔다.

그러나 충전용 어댑터와 유선 이어폰은 함께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전송·충전 속도가 향상된 'USB-C 라이트닝 케이블'은 제공된다.

애플은 또 이날 화면 크기가 5.4인치인 '아이폰12 미니'도 발표했다. 아이폰12 미니는 칩·카메라·디스플레이 등의 스펙은 아이폰12와 똑같으면서 크기만 줄인 제품이다.

한국은 미국 등 1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이보다 1주일 늦은 이달 30일부터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가격은 아이폰12의 경우 109만원부터, 아이폰12 미니는 95만원부터 시작한다.

 

애플이 13일(현지시간) 처음으로 5G 단말을 공개하면서, 시장에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애플 신규 전략단말 ‘아이폰12’가 오는 30일 국내 출시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노트20’을 웃도는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애플 충성고객 대상 단말 교체수요도 상당한 만큼, 통신3사는 마케팅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연내 5G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아이폰12발 불법보조금 촉발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아이폰12는 아이폰 사상 첫 5G 단말이라, 애플 고객 중심으로 대기수요가 크다. 5G시장 확대를 꾀해야 하는 통신사 입장에서는 5G 가입자를 유인할 수 있는 매력적인 모델인 셈이다.

다만, 애플은 단말 할인을 유도할 수 있는 지원금을 국내 통신사에 지급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신사 재원만으로 지원금이 충당돼야 하는 상황이라, 공시지원금은 기존 5G단말과 비교해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불법보조금의 경우 지난 2014년 ‘아이폰6’ 출시 당시 벌어진 전국적 대란 수준은 기대하기 어렵다. 통신3사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과징금을 받으면서 시장안정화를 약속했고, 국회에서도 국정감사를 통해 불법보조금 문제를 수차례 지적했다. 이에 정부당국이 단속을 강화하며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신사 입장에서도 5G 상용화에 따른 설비투자비(CAPEX)를 감내해야 하는데, 마케팅비용까지 늘어나면 올해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부담스럽다.

그럼에도 아이폰12 5G 가입자 수요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과열되면, 특수채널을 통한 스팟성 보조금 살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5G 스마트폰을 만들 때까지 단말 교체를 미뤄온 고객들이 많다”며 “과징금 및 실적 이슈가 있어 불법보조금은 경계하고 있지만, 한 사업자가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보조금을 살포하면 상황은 급변할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아이폰12 교체수요를 겨냥해 삼성전자‧LG전자 단말 중심으로 보조금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삼성전자는 지난 8월 ‘갤럭시노트20’을 비롯해, 지난 16일 중저가 5G단말 ‘갤럭시S20FE’ 등을 시장에 내놓았다. LG전자는 돌리는 폰 ‘윙’을 지난 6일 출시했다.

이들은 이달 말 아이폰12 출시 전 최대한 많은 고객을 끌어와야 한다. 이미 갤럭시노트20은 일부 유통망에서 20만원까지 가격을 낮추며 불법보조금을 유포하기도 했다. 윙은 호평을 받고 있음에도, 기대보다 판매가 부진해 승부수를 띄워야 한다. 아이폰12 출시 기대감으로 시장이 탄력을 받았을 때, 주요 제조사 전략 단말 중심으로 고객을 유인할 수 있는 불법보조금이 늘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통신3사는 아이폰12 출시행사와 프로모션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통신3사는 매년 1호 가입자 등에 수십~수백만원 상당 경품을 지급해 왔다. 그동안 코로나19에 따라 전략단말 출시행사와 이벤트는 축소되는 분위기였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 완화 방침이 이어진다면 이전보다 활발해진 마케팅을 펼치겠다는 계획이다. 애플은 출시행사 등에 재원을 쏟지 않아 통신사가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데, 그만큼 아이폰12에 많은 기대가 실렸다는 방증이다. 단,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았기 때문에 ‘밤샘’ ‘줄서기’ 방식은 지양한다.

한편, 아이폰12 시리즈 국내 출고가는 64GB 모델 기준 ▲아이폰12미니 95만원 ▲아이폰12 109만원 ▲아이폰12프로 135만원 ▲아이폰12 프로맥스 149만원이다. 이중 6.1인치 모델인 아이폰12와 아이폰12프로는 오는 23일부터 사전예약을 받고 30일 공식 출시 예정이다. 아이폰12미니와 아이폰12프로맥스는 1차 출시국 기준 다음달 13일 출시된다. 한국은 인도와 함께 1.5차 출시국에 포함됐다.

 

댓글


loading